JQuery 관련 링크
# JQuery 란 무엇인가? http://blog.naver.com/jin5434/30029121099 # 가볍고 쉬운 Ajax. JQuery 시작하기 http://blog.naver.com/kissin/70018447897 # JQuery의 기본이 되는 JQuery/Core에 대해 알아보자 http://cafe.naver.com/outofthenature/6 # JQuery 쓸만한 기능들 JQuery 쓸만한 기능들
# JQuery 란 무엇인가? http://blog.naver.com/jin5434/30029121099 # 가볍고 쉬운 Ajax. JQuery 시작하기 http://blog.naver.com/kissin/70018447897 # JQuery의 기본이 되는 JQuery/Core에 대해 알아보자 http://cafe.naver.com/outofthenature/6 # JQuery 쓸만한 기능들 JQuery 쓸만한 기능들
JAVA와 SP를 연동하기 위해선…. 1. CallableStatement Interface Load : 지금까지는 일반 qeury만 날리다 보니 습관적으로 PrepareStatement를 써왔는데 sp를 쓰기 위해서 CallableStatement의 prepareCall이 필요하다. cstmt = con.prepareCall(“{call EBZ_USP_ERPINTERFACE_JAVA(?,?,?,?)}”); call 다음에 프로시저명을 입력하고 ?,?,?,? 은 입력이든 출력이든 갯수를 맞춰야된다. 갯수가 맞지않으면… Read More »
Oracle 에서 입력된 stored procedure 를 java에서 실행해서 결과를 얻고 싶으시다면 Statement 대신에 CallableStatement 라는걸 쓰시면 됩니다. 그 뒤에는 어차피 insert, update 같은 것들과 같이 성공 또는 실패, 성공시 몇개가 성공했는지, query 인 경우에는 ResultSet 받아서 fetch 하면서 값 뽑아서 쓰시면 됩니다. Connection 까지는 똑같고 그 다음부터가 약간 다른데 대충 아래와 같습니다. … Read More »
# 우선순위에 따른 CSS 적용 방법 (1 이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1. <font style=”color:green; font-size:12px;”> 의 형태처럼 태그에 직접 적용 2. <style type=”text/css”> 의 형태로 문서내에서 정의 <!– 내용 –> </style> 3.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문서주소… Read More »
# Server 컴포넌트란 – 사용 빈도수가 많은 기능들을 이미 구현해 놓아서 가져다 쓸 수 있도록 만든 것 # Server 컴포넌트의 종류 – ADO(Active Data Object) : 데이터베이스 처리 – Ad Rotator : 동적 광고 표현 (요청시마다 다른 광고 보여주기) – Browser Capability : 브라우저의 특성과 정보 출력 (클라이언트 파악에 용이) – CDO(Collaboration Data Object)… Read More »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한 줄이 끝나는 부분에서 붙는 것과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자바에서 줄이 바뀌어도 String이 이어질 때 붙여주었던 + 와 같은 역할을 하는 듯 하다.
1. 속성 (1) Server.ScriptTimeout = 시간(초) – 서버에서의 스크립트 실행 시간을 지정하는 역할 – 왜 사용하는지 아직 모르겠음-_-; 2. 메서드 (1) Server.Execute(“경로”) – 지정한 경로의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에 삽입하는 역할 – 즉, 지정한 경로의 ASP 파일을 처리한 후… Read More »
# Session 객체의 사용 형식 – Session(“name”) = “bruce” – (원래는 Session.Contents(“name”) = “bruce” 그러나 Contents는 생략가능하다) 1. 컬렉션 (1) Session.Contents(항목명|항목번호) – 바인딩 된 정보 반환 – (예) <% Session(“name”) = “bruce” … Read More »
# Application 객체의 사용 형식 – Application(“name”) = “bruce” – (원래는 Application.Contents(“name”) = “bruce” 그러나 Contents는 생략가능하다) 1. 컬렉션 (1) Application.Contents(항목명|항목번호) – 바인딩 된 정보 반환 – (예) <% Application(“name”) = “bruce” … Read More »
1. 컬렉션 (1) Response.Cookies(쿠키 변수)(하위 쿠키 변수) = 쿠키 값 =>”쿠키 변수” 의 이름으로 저장된 쿠키에 “하위 쿠키 변수=쿠키 값” 형태의 데이터를 추가한다. Response.Cookies(쿠키 변수).속성 => 속성 : Domain – 지정한 도메인에 있는 클라이언트에 쿠키 전달 (써 본 적 없음) … Read More »
1. 컬렉션 (1) Request.Cookies(쿠키 변수) Request.Cookies(쿠키 변수)(하위 쿠키 변수) Request.Cookies(쿠키 변수).속성 => 속성 예 : HasKeys (2) Request.Form(폼요소이름) (3) Request.QueryString(폼요소이름) (4) ServerVariables(서버 환경 변수) => 서버 환경 변수 예 : “SERVER_NAME”, “REMOTE_HOST”, “HTTP_USER_AGENT” 2. 속성 (1)… Read More »
GET 방식으로 전달할 경우 : Request.QueryString(“바인딩이름”)POST 방식으로 전달할 경우 : Request.Form(“바인딩이름”) # 바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변수에 값을 전달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 결과 GET, POST 관계 없이 작동했다. Request(“바인딩이름”)
<% Response.Charset = “euc-kr” Response.Cookies(“Login”)(“아이디”) = “bruce” ‘Login 이라는 쿠키변수의 아이디 라는 하위쿠키변수에 bruce 를 저장한다. Response.Cookies(“Login”)(“패스워드”) = “1111” Response.Cookies(“Bruce”).Expires = #09/05/2008# ‘쿠키의 소멸일자 지정 Response.Cookies(“Bruce”).Path = “/test/Cookie”‘쿠키의 경로 설정 Response.Write Request.Cookies(“Login”) & “<br><br>” ‘Login 이라는 쿠키변수에 저장된 모든 값을 읽어 출력한다. For Each strLog In Request.Cookies ‘Request 객체에서 쿠키들을 가져와 각각의 쿠키를 strLog 에 한번씩 대입한다. If Request.Cookies(strLog).HasKeys… Read More »
Response.Charset = “euc-kr”
http://blog.naver.com/jinriver/19809782
DIV의 z-index 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레이어의 위치를 바꾸는 예제 (레이어를 클릭하면 바뀜) 첫번째 레이어 두번째 레이어 <html> <head> <script language=JavaScript> //z-index 를 서로 바꿔주는 메서드 2개 작성 (z-index 는 숫자가 클수록 힘이 쎄다-_-!) function z_arg() { layer1.style.zIndex = “2”; //자바스크립트에서 접근할 때는 z-index 가 아니라… Read More »
DIV 태그 예제 <div id=”layer1″ style=”width:72px; height:21px; position:absolute; left:125px; top:145px”> <p><img src=”melos.jpg” border=”0″></p> </div> DIV 태그는 왜 사용하는가? – 웹문서에 특정한 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쉽게 말하면 웹문서의 특정 위치에 글이나 이미지를 적을 수 있는 네모칸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 DIV 태그 속성 설명 – id : 자바스크립트에서 호출하기 위한 이름… Read More »
# 첫 페이지를 index.html 이라 하고, 주소창에서 그 URL을 계속 유지하고 싶다면, index.html 을 다음과 같이 셋팅한다. (변동되는 페이지 중 첫 페이지는 /main/main.jsp 라고 가정한다) <FRAMESET title=”a” ROWS=”0,*” FRAMEBORDER=”NO” BORDER=”0″ FRAMESPACING=”0″ > <FRAME title=”b” NAME=”name1″ SCROLLING=”NO” noresize SRC=”#”> <FRAME title=”a” NAME=”name2″ SRC=”/main/main.jsp” SCROLLING=”auto”></FRAMESET> <noframes title=”a”> <body><p>프레임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는 <a href=”/main/main.jsp”>프레임 없는 페이지</a>를 보십시오.</p></body></noframes>
# innerHTML 은 div 태그를 이용하여 문서내에 HTML 코드를 삽입할 수 있게 해 준다. 이것은 HTML 을 동적으로 만드는 방법의 하나로써 주로 사용한다. (예: 버튼 클릭시 변하는 HTML) (예 : innerHTML 예제) <script language=”javascript”> function inputHTML(){ var str = “새로운 코드가 입력됩니다.” document.getElementById(“aaa”).innerHTML =… Read More »
문서에서 선언한 캐릭터 타입과 문서 내부에서 쓰고 있는 캐릭터 타입이 일치하고 있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