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Eclipse 플러그인 : 의존성 분석 도구 JDEPEND
http://blog.daum.net/darkandy/129 * 참고 – Eclipse Market Place에서 jdepend로 검색하면 설치 가능하다.
http://blog.daum.net/darkandy/129 * 참고 – Eclipse Market Place에서 jdepend로 검색하면 설치 가능하다.
*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셋(characterset) 조회 쿼리 SELECT * FROM v$nls_valid_values WHERE parameter = ‘CHARACTERSET’ * 특정 문자열의 캐릭터셋을 변환하여 byte length를 조회하는 쿼리 select lengthb(convert(‘가나다’, ‘KO16KSC5601’)) from dual; select lengthb(convert(‘野良猫ねこ’, ‘KO16MSWIN949’)) from dual; select lengthb(convert(‘禽流可传人’, ‘UTF8’)) from dual;
java 암호화/복호화 관련 작업 수행시,Unsupported keysize or algorithm parameters 나 Illegal key size or default parameters 에러가 발생할 경우,JCE(Java Cryptographic Extension)의 정책(policy) 파일 문제일 경우가 많다. JCE의 기본 정책으로 인해 제한된 사항(ex: AES에서 128bit(16byte)를 초과하는 길이의 key 사용불가)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jre의 암호화 정책 파일(local_policy.jar 와 US_export_policy.jar)을 무제한(unlimited)버전으로 덮어써 줘야 한다. 문제는 JDK의 벤더 및 종류에 따라 정책 파일이 다르다는 것인데…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단… Read More »
Juno를 깔아보니 기본에디터로 Web Page Editor라는 것을 제공하는데, 영 내 취향이 아니다 -_-…(GUI를 제공하는데 쓸데없이 느리기만 하고…-_-…) – Window => Preference => General => Editors => File Associations 로 가서 .jsp, .jspf의 Default를 JSP Editor로 변경
http://js7309.egloos.com/10644853
– 출처 : http://iamyour.tistory.com/entry/javascript-file-size-check-before-uploading – javascript 혹은 Jquery 에서 업로드 하기 전에 파일 용량을 체크할 수 있다. 다만 IE 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IE 에서 active-X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지만 추천하지 않는다.) 관련자료 2번째 링크를 참고하면 IE에서는 click 이벤트를 해야 작동하는 것 또한 확인 할 수 있다. $(‘#file’).bind($.browser.msie? ‘propertychange’: ‘change’, function(){ var f=this.files[0]; … Read More »
window.open 뿐만 아니라, anchor 태그를 사용하여 새 창을 띄웠을 경우에도 링크가 있는 페이지가 opener가 된다!!예) <a href=”http://blabla.com” target=”_blank”>BLABLA</a> 그러므로 크로스도메인 (cross domain) 접근 에러에 주의하자!!
* 개요 이 에러는 오직 IE7에서만 발생하는 에러이다. 서로 다른 문서(ex: 다른 프레임)의 객체간에 jQuery의 append()를 사용했을 경우 스크립트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 * 소스 (오류 상황) – $(‘#mainBox’, mainFrameDoc).append( $(‘#topBox’, topFrameDoc).children().clone() ); * 해결 – 원인을 정확히 파악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workaround로서 innerHTML로 처리함. (innerHTML의 경우 1 depth 아래로 들어가는 것에 주의한다.)… Read More »
http://trivialproof.blogspot.kr/2011/01/resizing-virtualbox-virtual-hard-disk.html
MSIE FIREFOX
http://zxh.co.kr/78
http://www.fiddler2.com/Fiddler/help/keyboard.asp
다른 브라우저들과 다르게 사파리는, 서드 파티(Thrid-party: 현재 접속한 사이트의 도메인과 다른 사이트, 타사) 쿠키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정책이다. 환경설정 > 개인정보 > 쿠키 차단 – 안함 으로 설정하면 일단은~ 된다.
이 속성들은, 윈도우 바탕화면의 왼쪽 위를 기준으로 삼아 window 객체의 좌표를 측정하는 것들이다. 기본적으로는 screenTop, screenLeft 를 사용하지만, FireFox에는 해당 속성이 없어서 screenX, screenY를 사용한다. 그런데 문제는, 각 브라우저에서 위의 값들이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는 것이다. 좀 더 테스트를 해 봐야 알겠지만… 프레임셋으로 구성된 화면을 각 브라우저에서 호출하면, IE에서는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window 객체를 대상으로 좌표를… Read More »
검색을 해 보면 이런 저런 해결책들이 있지만, 지식이 짧아서 잘 적용하기가 어렵더라. 그래서 내가 선택한 방법은 잘 돌아가고 있는 다른 사람의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C:\workspace\project\business\Test.java 파일을 업데이트/커밋 하는데 위의 에러가 발생했다면, C:\workspace\project\business 폴더에는 .svn 폴더가 있을 것이다. 이 때, 정상적으로 svn이 구동되는 사람의 business 폴더(.svn폴더의 상위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에러가 발생한 사람의 해당 경로에 덮어쓰는 것이다.… Read More »
http://blog.naver.com/kyumi0705/20094671859
– 출처 : http://dbclose.tistory.com/75 – 오라클은 MySql 에서 지원하는 order by LIMIT 를 지원하지 않아 페이징 처리 속도가 느리다.알려진 오라클 페이징 기법을 테스트 하여 속도를 비교해 보자SAMPLE 테이블에 100만건의 데이트를 입력 후 10개씩 보여지는 마지막 페이지를 조회정렬 조건은 PRIMARY KEY DESC 정렬1. 페이지 수를 계산하여 셀렉트 SELECT B.* FROM ( SELECT CEIL(ROWNUM/10) PAGE–, COUNT(*) OVER() AS TOTAL_COUNT,… Read More »
생각해 보니 window 객체는 DOM이 아니라 BOM(Browser Object Model)이었다. 그러므로 객체에 셋팅한 프로퍼티가, 문서 단위로 reload 되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 단위로 reload 되는 것이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window 객체에 name을 계속 셋팅하면 계속 갱신되지만, name을 셋팅 했다가 name을 셋팅한 구문을 제거한다고 해도, 문서가 reload 되는 것에 관계 없이 브라우저에 해당 정보가 남아있으므로 name이 지워지지 않았던 것이었다. 그러므로… Read More »
웹표준가이드 – 2. 문서타입과 브라우저모드 Difference between “Browser Mode” and “Document Mode” in Internet ExplorerIE8 browser mode vs document mode Testing sites with Browser Mode vs. Doc Mode Testing Browser and Document Compatibility Modes with the Developer Tools
※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다음의 방법으로 일단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트리가 만들어지는 페이지에 다음의 스타일 추가 <style type=”text/css”> ul, li { zoom: 1 } </style> * 완벽하지 않다고 한 이유는, 트리의 2depth 이상에서 트리를 펼칠 때 트리가 약간 (1픽셀 정도) 위로 움직이는 현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IE7 혹은 호환성보기에서만)